수자원 – 건화 kunhwa 건설엔지니어링 분야 종합컨설팅 회사 Mon, 16 May 2022 01:36:32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5.5.3 /wp-content/uploads/2020/12/cropped-kunhwa-favicon-32x32.png 수자원 – 건화 kunhwa 32 32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등 방재시설 확충공사 /%ec%8b%a0%ec%9b%94-%eb%b9%97%eb%ac%bc%ec%a0%80%eb%a5%98%eb%b0%b0%ec%88%98%ec%8b%9c%ec%84%a4-%eb%93%b1-%eb%b0%a9%ec%9e%ac%ec%8b%9c%ec%84%a4-%ed%99%95%ec%b6%a9%ea%b3%b5%ec%82%ac/?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c%258b%25a0%25ec%259b%2594-%25eb%25b9%2597%25eb%25ac%25bc%25ec%25a0%2580%25eb%25a5%2598%25eb%25b0%25b0%25ec%2588%2598%25ec%258b%259c%25ec%2584%25a4-%25eb%2593%25b1-%25eb%25b0%25a9%25ec%259e%25ac%25ec%258b%259c%25ec%2584%25a4-%25ed%2599%2595%25ec%25b6%25a9%25ea%25b3%25b5%25ec%2582%25ac /%ec%8b%a0%ec%9b%94-%eb%b9%97%eb%ac%bc%ec%a0%80%eb%a5%98%eb%b0%b0%ec%88%98%ec%8b%9c%ec%84%a4-%eb%93%b1-%eb%b0%a9%ec%9e%ac%ec%8b%9c%ec%84%a4-%ed%99%95%ec%b6%a9%ea%b3%b5%ec%82%ac/#respond Wed, 12 May 2021 06:22:40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3775

대한민국/서울특별시

2012년 08월 ~ 2015년 08월

배수터널(연장 3.6km), 유도터널(1.1km)

터널, 빗물펌프장

기본 및 실시설계

현대건설

국내 최초
터널형 지하 저류배수시설

강서구, 양천구 일대의 침수 피해 방지

신월 빗물저류시설은 국내 최초로 도입된 터널형 지하저류배수시설이다. 강서구, 양천구 일대의 침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건설하였다. 이 지역은 산지에 둘러 싸인 분지형 특성으로 인해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침수 피해로 주민들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건화는 2011년 기본계획 단계부터 참여하여 이 사업의 기본구상을 마련하였다. 이후 턴키로 발주된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에 참여하여 2013년 수자원, 상‧하수도, 토목구조, 토질 및 기초, 전기 및 제어계측, 기계 등의 종합설계를 수행하였다. 지하저류시설의 경우 미국, 일본 등 몇몇 선진국에서만 시공‧운영되고 있는 시설이다. 국내 시공사례가 전혀 없었지만 국내 최초로 도입해 건화의 기술력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지하 50m에 직경 10m의 대심도 터널

총사업비는 1380억 원이 투입되었다. 지하 50m에 직경 10m의 대심도 터널을 파 설치한 빗물저장시설이다. 양천구 신월1동에서 양천구 목동빗물펌프장까지 저류배수터널(연장 3.6km)과 유도터널(연장1.1km)이 2개소, 수직구 6개소가 설치됐다. 2013년 5월 첫 삽을 뜨기 시작해 만 7년 만인 2020년 5월 공사를 끝냈다.
이 시설에는 집중호우 시 빗물을 최대 32만m³까지 가둬둘 수 있다. 50m 수영장 160개를 채울 수 있는 어마어마한 크기다. 또한 빗물을 1분당 최대 1만 2360t까지 처리할 수 있어 30년 빈도의 강우 강도와 시간당 100mm에 달하는 집중호우가 쏟아져도 대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수박스 수위가 50~70%에 도달하면 빗물터널 유입구 3곳의 수문이 자동으로 열려 터널에 빗물을 저류한다. 저장용량을 초과할 경우 목동 빗물펌프장 유수지로 자연 방류돼 인근 안양천으로배수 처리되는 침수 예방 시스템이다. 2010년과 2011년 물난리 때 양천구에서 발생한 침수 가구수는 각각 2876가구, 1182가구였지만 2020년 물난리 때는 한 가구도 침수 피해를 입지 않았다. 빗물저류시설 등 방재시설이 제 역할을 한 때문으로 보여진다.

프로젝트 이야기

권준서 상무수자원부

2011년 7월에 기습 폭우로 서울 곳곳에서 물난리가 났었지요. 그때 서울의 심장부인 광화문이 물에 잠겼고 강서구 화곡동, 양천구 신월동 일대의 저지대가 물바다로 변했습니다. 우면산에서는 대규모 산사태까지 발생했고요. 기후변화로 인한 유례없는 폭우에 서울시가 긴급 수방대책을 마련하게 되는데 그 핵심적 대책 중 하나가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입니다. 국내 최초의 이 사업에 건화가 기본계획부터 시작해 기본설계, 실시설계까지 참여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겠습니다.

박사원 상무지반터널부

빗물을 가둬두는 기능만 지닌 기존의 다른 시설(유수지, 빗물펌프장 등)들은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무용지물이라고 할 수 있어요. 반면에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은 지하공간을 활용한 대용량의 저류 능력에 배수시설까지 갖춘 획기적인 시설물이라 할 수 있지요. 나중에 국내 2호 저류시설을 설계한 타 엔지니어링 회사 관계자들도 우리 것을 많이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고 있고요, 무엇보다도 건화의 기술력으로 이 지역의 집중호우 피해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큰 보람을 느낍니다.

]]>
/%ec%8b%a0%ec%9b%94-%eb%b9%97%eb%ac%bc%ec%a0%80%eb%a5%98%eb%b0%b0%ec%88%98%ec%8b%9c%ec%84%a4-%eb%93%b1-%eb%b0%a9%ec%9e%ac%ec%8b%9c%ec%84%a4-%ed%99%95%ec%b6%a9%ea%b3%b5%ec%82%ac/feed/ 0
신평 제2배수펌프장 건설공사 /%ec%8b%a0%ed%8f%89-%ec%a0%9c2%eb%b0%b0%ec%88%98%ed%8e%8c%ed%94%84%ec%9e%a5-%ea%b1%b4%ec%84%a4%ea%b3%b5%ec%82%ac/?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c%258b%25a0%25ed%258f%2589-%25ec%25a0%259c2%25eb%25b0%25b0%25ec%2588%2598%25ed%258e%258c%25ed%2594%2584%25ec%259e%25a5-%25ea%25b1%25b4%25ec%2584%25a4%25ea%25b3%25b5%25ec%2582%25ac /%ec%8b%a0%ed%8f%89-%ec%a0%9c2%eb%b0%b0%ec%88%98%ed%8e%8c%ed%94%84%ec%9e%a5-%ea%b1%b4%ec%84%a4%ea%b3%b5%ec%82%ac/#respond Tue, 10 Nov 2020 02:56:18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1592

대한민국/고양시

2013년 05월 ~ 2014년 02월

빗물펌프장 건설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고양시

‘비개착식공법’으로 자유로를 횡단하다

침수문제 해결로 거주민의 만족도 높여

신평 제2배수펌프장 건설공사는 설계부터 감리까지 건화에서 단독으로 수행한 프로젝트로 지역의 고질적인 침수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여 거주민의 주거 만족도를 높인 대표적인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고양관광문화단지와 주변 저지대, 농경지 침수 예방에 큰 도움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풍동‧식사지구 및 도촌천 일대 저지대 상습 침수를 해결함으로써 수재해 없는 안전한 도시 구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해당 지역과의 오랜 인연은 건화 수자원부의 역사이자 부서원들의 자부심이 되고 있다. 건화는 오랜시간 동안 신평 제2배수펌프장 유역에 해당하는 대장천, 도촌천, 행신천 등 주요 하천기본계획의 수립(2006년)과 재수립(2020년), 그리고 도촌천 실시설계를 수행해 왔던 이력으로 그 실력을 인정받아 신평 제2배수펌프장 증설공사 사업까지 수행하게 된 것이다.

설계와 감리의 콜라보

신평 제2배수펌프장 설계의 핵심 포인트는 바로 자유로 횡단시설물 설치 공사였다. 자유로를 가로질러 배수암거를 설치해야 했는데, 군사지역이자 제방 형식으로 만들어진 도로의 특성 때문에 ‘Open Cut’ 공사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설계와 감리 엔지니어들이 구수회의를 거듭한 결과 ‘비개착식 강관추진공법’을 적용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신평 제2배수펌프장 건설 사업은 감리-설계 콜라보의 모범 현장이 되었다.

]]>
/%ec%8b%a0%ed%8f%89-%ec%a0%9c2%eb%b0%b0%ec%88%98%ed%8e%8c%ed%94%84%ec%9e%a5-%ea%b1%b4%ec%84%a4%ea%b3%b5%ec%82%ac/feed/ 0
모잠비크 수자원관리 마스터플랜 /%eb%aa%a8%ec%9e%a0%eb%b9%84%ed%81%ac-%ec%88%98%ec%9e%90%ec%9b%90%ea%b4%80%eb%a6%ac-%eb%a7%88%ec%8a%a4%ed%84%b0%ed%94%8c%eb%9e%9c/?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b%25aa%25a8%25ec%259e%25a0%25eb%25b9%2584%25ed%2581%25ac-%25ec%2588%2598%25ec%259e%2590%25ec%259b%2590%25ea%25b4%2580%25eb%25a6%25ac-%25eb%25a7%2588%25ec%258a%25a4%25ed%2584%25b0%25ed%2594%258c%25eb%259e%259c /%eb%aa%a8%ec%9e%a0%eb%b9%84%ed%81%ac-%ec%88%98%ec%9e%90%ec%9b%90%ea%b4%80%eb%a6%ac-%eb%a7%88%ec%8a%a4%ed%84%b0%ed%94%8c%eb%9e%9c/#respond Thu, 01 Feb 2018 04:16:36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1596

모잠비크/모잠비크 전역

2015년 12월 ~ 2018년 02월

유역종합치수계획

마스터플랜 수립

한국국제협력단

아프리카에 물부족 해결사 역할

모잠비크 수자원 종합계획을 수립하다

수자원부에서는 모잠비크 수자원관리 마스터 플랜 프로젝트에 참가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물 관리 전반에 대한 조사 및 설계가 진행되었다. 수자원 운영, 홍수 관리, 댐을 활용한 전력 생산,기후변화, 용수 수요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중장기 플랜을 마련하기 위해 종합적인 검토 및 분석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를 토대로 모잠비크 내 전체 104개 하천 중 35개 하천 유역에 대해 수자원관리 종합 계획을 수립하였다.
모잠비크의 물 이용의 안정성 제고, 홍수에 안전한 기반 구축, 건전한 하천 환경 조성을 통해 사회,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다목적댐 개발, 수력발전댐 개발, 기존댐 보수 보강, 소규모댐 개발, 지하수 개발, 제방사업 등 구조물개발 사업을 제안하였다.

]]>
/%eb%aa%a8%ec%9e%a0%eb%b9%84%ed%81%ac-%ec%88%98%ec%9e%90%ec%9b%90%ea%b4%80%eb%a6%ac-%eb%a7%88%ec%8a%a4%ed%84%b0%ed%94%8c%eb%9e%9c/feed/ 0
모전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eb%aa%a8%ec%a0%84%ec%b2%9c-%ec%83%9d%ed%83%9c%ed%95%98%ec%b2%9c-%eb%b3%b5%ec%9b%90%ec%82%ac%ec%97%85/?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b%25aa%25a8%25ec%25a0%2584%25ec%25b2%259c-%25ec%2583%259d%25ed%2583%259c%25ed%2595%2598%25ec%25b2%259c-%25eb%25b3%25b5%25ec%259b%2590%25ec%2582%25ac%25ec%2597%2585 /%eb%aa%a8%ec%a0%84%ec%b2%9c-%ec%83%9d%ed%83%9c%ed%95%98%ec%b2%9c-%eb%b3%b5%ec%9b%90%ec%82%ac%ec%97%85/#respond Tue, 01 Nov 2011 05:28:55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1629

대한민국/문경시

2011년 05월 ~ 2011년 11월

27,000㎡

생태하천복원사업

실시설계

문경시

생태를 복원하니 수달이 돌아왔다

수질 환경 1등급 책정

문경시 모전천은 환경부 주관의 생태하천복원 사업 컨테스트에서 2018년, 2019년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하면서 유명세를 떨치게 되었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철거하고 생태하천으로 복원을 했더니 사업시행 전 BOD 1.5mg/L로 오염되었던 하천이 BOD 0.5mg/L로 Ia등급(매우 좋음)의 맑은 하천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하천 모니터링 결과, 복원된 생태하천은 수질환경 1등급 책정, 수달(천연기념물 제330호, 멸종위기야생식물Ⅰ급), 원앙(천연기념물 제327호) 등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이 확인되는 등 생태하천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생태 하천과 치수방재 효과를 동시에

생태복원 개념이 미약하던 10여 년 전 건화 수자원부가 주도하여 설계하고 감리CM본부의 철저한 책임감리 하에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모전천은 치수방재 효과까지 거두고 있다.
해마다 하천 주변의 침수 피해가 발생된 지역이었으나 하상고를 최대한 낮춰 당초의 소하천에 비해 통 수단면을 1.8배 확장하여 하천 범람 피해가 없도록 설계하였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이야기

신중문 부사장수자원부

수계 상류까지 치수 안정도를 확보하고 상시적인 용수공급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생태하천 조성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치수 및 수질개선 이슈를 동시에 해결하고 시민들의 문화공간으로 주도한 수자원부의 자부심은 엄청났습니다.

김경수 이사수자원부

건화가 설계한 모전천이 생태하천복원 사업 우수사례로 뽑혀 장관상까지 수상했으니 프로젝트에 참여한 저도 큰 보람을 느낍니다. 모전천 사업은 발주처나 환경 관련 기관도 생태복원 사업에 대해 익숙지 않은 초창기 시절에 건화가 생태복원 사업에 대한 방향성과 기준을 제시한 생태복원의 대표 프로젝트입니다.

수상내역

]]>
/%eb%aa%a8%ec%a0%84%ec%b2%9c-%ec%83%9d%ed%83%9c%ed%95%98%ec%b2%9c-%eb%b3%b5%ec%9b%90%ec%82%ac%ec%97%85/feed/ 0
합천 창녕보 /%ed%95%a9%ec%b2%9c-%ec%b0%bd%eb%85%95%eb%b3%b4/?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d%2595%25a9%25ec%25b2%259c-%25ec%25b0%25bd%25eb%2585%2595%25eb%25b3%25b4 /%ed%95%a9%ec%b2%9c-%ec%b0%bd%eb%85%95%eb%b3%b4/#respond Tue, 08 Feb 2011 08:09:37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2255

대한민국/합천군

2009년 10월 ~ 2011년 12월

하천정비사업

실시설계

에스케이건설

낙동강에 숨을 불어 넣다

기후변화 대비와 관광네트워크

향후 물 부족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용수를 확보하며 기후변화로 인해 빈발하는 홍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생태하천조성을 통해 친수환경을 조성하여 주변경관을 개선함은 물론 수변환경 및 주변지역 관광자원과 연계한 광역 관광네트워크(역사, 문화, 관광, 레저 등)를 조성하여 창녕ㆍ의령ㆍ합천지역은 물론 인근지역 개발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홍수조절능력 증대로 기후변화 대비

합천 창녕보를 통해 5,030만㎥의 용수 확보로 장래 물부족과 가뭄에 대한 대처역량 제고하여 홍수조절능력증대로 기후변화 대비 및 100년 빈도 홍수에 안전한 강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낚시 가능하고 수영할 수 있는 “좋은 물” 비율 대폭 향상하며 생태하천 복원 및 수변벨트 조성으로 생태환경 개선도 가능하게 되었다. 녹색뉴딜 사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견인하여 물관리 글로벌리더로서 국가위상 제고하게 되었다.

]]>
/%ed%95%a9%ec%b2%9c-%ec%b0%bd%eb%85%95%eb%b3%b4/feed/ 0
영산강 살리기 나주 강변저류지 생태하천 조성 /%ec%98%81%ec%82%b0%ea%b0%95-%ec%82%b4%eb%a6%ac%ea%b8%b0-%eb%82%98%ec%a3%bc-%ea%b0%95%eb%b3%80%ec%a0%80%eb%a5%98%ec%a7%80-%ec%83%9d%ed%83%9c%ed%95%98%ec%b2%9c-%ec%a1%b0%ec%84%b1/?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c%2598%2581%25ec%2582%25b0%25ea%25b0%2595-%25ec%2582%25b4%25eb%25a6%25ac%25ea%25b8%25b0-%25eb%2582%2598%25ec%25a3%25bc-%25ea%25b0%2595%25eb%25b3%2580%25ec%25a0%2580%25eb%25a5%2598%25ec%25a7%2580-%25ec%2583%259d%25ed%2583%259c%25ed%2595%2598%25ec%25b2%259c-%25ec%25a1%25b0%25ec%2584%25b1 /%ec%98%81%ec%82%b0%ea%b0%95-%ec%82%b4%eb%a6%ac%ea%b8%b0-%eb%82%98%ec%a3%bc-%ea%b0%95%eb%b3%80%ec%a0%80%eb%a5%98%ec%a7%80-%ec%83%9d%ed%83%9c%ed%95%98%ec%b2%9c-%ec%a1%b0%ec%84%b1/#respond Sat, 01 May 2010 04:41:52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1612

대한민국/나주시

2009년 07월 ~ 2010년 05월

생태하천 복원사업

실시설계

익산지방국토관리청

홍수조절 기능을 발휘하는 강변저류지

친수 공간, 생태 공원, 홍수조절지의 기능을 한 번에

나주 강변저류지는 평소에는 친수공간 또는 생태체험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우천 시에는영산강의 홍수위를 낮추는 홍수조절지 기능을 수행한다.
건화는 익산지방국토관리청에서 계획한 영산강 유역 종합치수계획, 하천기본계획을 과업의 토대로삼아 조사 측량과 토질 조사를 마치고 최종 실시설계를 진행하였다. 특히 환경적 요소를 감안해 저류지 내 비점오염원 배출에 대한 저감 대책도 철저하게 고려했다.
2020년 8월 역대급 물폭탄이 나주 지역을 강타했을 때 나주 강변저류지는 준공 9년 만에 물그릇 역할을 잘 해냈다. 이 지역에 쏟아진 폭우로 영산강물이 급속하게 불어나자 강변저류지는 강물을 가득 받아두었다가 강 수위가 내려가자 다시 물을 강으로 흘려보낸 것이다.

]]>
/%ec%98%81%ec%82%b0%ea%b0%95-%ec%82%b4%eb%a6%ac%ea%b8%b0-%eb%82%98%ec%a3%bc-%ea%b0%95%eb%b3%80%ec%a0%80%eb%a5%98%ec%a7%80-%ec%83%9d%ed%83%9c%ed%95%98%ec%b2%9c-%ec%a1%b0%ec%84%b1/feed/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