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계획 – 건화 kunhwa 건설엔지니어링 분야 종합컨설팅 회사 Thu, 20 May 2021 01:23:50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5.5.3 /wp-content/uploads/2020/12/cropped-kunhwa-favicon-32x32.png 교통계획 – 건화 kunhwa 32 32 수도권 고속철도(SRT) /%ec%88%98%eb%8f%84%ea%b6%8c-%ea%b3%a0%ec%86%8d%ec%b2%a0%eb%8f%84srt/?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c%2588%2598%25eb%258f%2584%25ea%25b6%258c-%25ea%25b3%25a0%25ec%2586%258d%25ec%25b2%25a0%25eb%258f%2584srt /%ec%88%98%eb%8f%84%ea%b6%8c-%ea%b3%a0%ec%86%8d%ec%b2%a0%eb%8f%84srt/#respond Thu, 13 May 2021 06:20:20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3858

대한민국/서울,경기

2010년 04월 ~ 2012년 07월

규모

고속철도

교통영향, 기본 및 실시설계

한국철도시설공단

대한민국 고속철도 X망 네트워크 완결판

수서발 고속철도 SRT

수서발 수도권고속철도인 SRT의 완공으로 기존의 고속철도 노선과 연계하여 대한민국 고속철도 X망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수서~부산, 수서~목포를 2시간 내외로 묶어 교통편의를 극대화하게 되었다. 건화는 2010년 수서~평택 구간의 수도권고속철도에 대한 교통영향분석을 시작으로 제4공구 기본 및 실시설계와  2012년 보완설계 과업을 진행했다. 기존 서울역과 용산역에서 출발하여 금천구청까지의 구간에 열차가 많아 선로량 포화도가 높았는데 수도권고속철도(SRT)를 통해 크게 해소되었다.

]]>
/%ec%88%98%eb%8f%84%ea%b6%8c-%ea%b3%a0%ec%86%8d%ec%b2%a0%eb%8f%84srt/feed/ 0
KTX울산역 광역복합환승센터 /ktx%ec%9a%b8%ec%82%b0%ec%97%ad-%ea%b4%91%ec%97%ad%eb%b3%b5%ed%95%a9%ed%99%98%ec%8a%b9%ec%84%bc%ed%84%b0/?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ktx%25ec%259a%25b8%25ec%2582%25b0%25ec%2597%25ad-%25ea%25b4%2591%25ec%2597%25ad%25eb%25b3%25b5%25ed%2595%25a9%25ed%2599%2598%25ec%258a%25b9%25ec%2584%25bc%25ed%2584%25b0 /ktx%ec%9a%b8%ec%82%b0%ec%97%ad-%ea%b4%91%ec%97%ad%eb%b3%b5%ed%95%a9%ed%99%98%ec%8a%b9%ec%84%bc%ed%84%b0/#respond Fri, 07 May 2021 08:14:40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3573

대한민국/울산광역시

2020년 4월~2020년 12월

808,429㎡

복합환승센터

개발계획 및 단지조성

울산광역시

KTX울산역
활용도를 업그레이드 하다

동남권 광역경제권 성장거점 역할 기대

울산시는 동남권 광역경제권의 성장거점으로 도약하고 있다. 울산시 교통 인프라의 중핵이 될 KTX울산역에 광역복합환승센터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건화는 2010년 타당성조사를 시작으로 2011년 개발계획 수립, 그리고 2019년에는 울산역 복합특화단지 교통영향평가 과업을 수행했다. 이 과업을 통해 KTX울산역과 복합환승센터간 이용수요의 통행 실태를 예측하고 각 광역버스, 시내버스, 택시, K&R 등의 교통수단간 환승거리를 최소화하였다. 환승시간 및 이용자의 이동거리 절감을 위해 환승 정보 안내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환승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광역버스 일부 노선을 복합환승센터로 경유하도록하여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했다. 복합환승센터는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곳에는 국내 유통 대기업의 쇼핑몰, 문화센터 등이 입점할 예정이라 더 많은 유동인구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되어 이러한 점도 과업에 반영될 예정이다.교통계획분야 엔지어를 필두로 건화는 국내외 복합환승센터, BRT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KTX울산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사업을 계기로 건화는 환승센터 설계 분야에 있어 명실상부한상위권 종합엔지니어링 회사로 기술력과 명성을 알리게 되었다.

프로젝트 이야기

유병영 부장교통계획부

KTX울산역 광역복합환승센터 과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울산역 일대는 동남권의 전략적 성장거점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울산시는 주변 지역과의 유기적인 교통체계 구축을 통해 광역적 입지 여건이 강화될 것이고, 이 지역이 동남권 대중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봅니다. 우리 건화의 축적된 노하우를 적극 활용하여 지역주민들이 만족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겠습니다.
니다

]]>
/ktx%ec%9a%b8%ec%82%b0%ec%97%ad-%ea%b4%91%ec%97%ad%eb%b3%b5%ed%95%a9%ed%99%98%ec%8a%b9%ec%84%bc%ed%84%b0/feed/ 0
세부 BRT /%ec%84%b8%eb%b6%80-brt/?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c%2584%25b8%25eb%25b6%2580-brt /%ec%84%b8%eb%b6%80-brt/#respond Tue, 29 May 2018 09:13:46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2022

필리핀/세부

2015년 05월 ~ 2018년 05월

복합환승센터

실시설계

DOTC

교통체증해소를 위한 솔루션 제공

필리핀 제2의 도시 세부의 난제 해결

필리핀 제2의 도시 세부는 연간 100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찾는 필리핀 중남부 지역의 중심지다. 대중교통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세부의 교통난 해결을 위해 필리핀 DOTC(교통통신부)가 BRT(간선급행버스 체계; Bus Rapid Transit)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World Bank 재원으로 추진된 ‘세부 BRT 사업 실시설계 및 감리’ 프로젝트에는 스페인(Getinsa사), 일본(Aurencon사) 등 쟁쟁한 엔지니어링 기업들이 입찰에 참여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최종적으로는 건화가 기술점수에서 2위와 10점차 이상의 격차를 벌리며 수주했다. QCBS 입찰 방식의 기술 경쟁을 통해 따낸 사업이라 더욱 의미가 컸다. 필리핀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지역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교통혼잡비용의 해결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BRT는 경제성이 아주 탁월하여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해외 BRT 설계 전문 기업으로의 도약

세부 BRT 사업은 교통 분야에서 시도된 우리나라 최초의 대형 수출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가 자랑하는 IT 기술의 접목으로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감리 과업도 함께 수행하게 되어 건화에서 책임지고 시작과 끝을 맺게 되었으며 설계와 감리가 유기적으로 소통하며 완성도를높여가고 있다.
과업 진행 중 예상치 못한 변수를 만나기도 했지만 모든 설계 참여 인력이 합심하여 이 모든 어려움들을 극복하고 현재 4차 설계변경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2020년 내에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사업을 계기로 건화는 해외 BRT 설계 전문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종합엔지니어링 회사로서의 위상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알릴 수 있었다.

프로젝트 이야기

박완용 기술고문

BRT 사업은 IT 기술이 접목된 ‘소프트 인프라’의 성격을 지니고 있지요. IT 강국인 우리나라는 앞으로 BRT 분야가 국제무대에서 충분히 비교우위를 점할 것으로 봅니다. 이번 BRT 사업은 교통계획 분야의 설계 노하우를 해외로 수출하는 대형 사업으로 국내 최초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습니다.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과정을 겪고 있기 때문에 BRT 사업의 수출 전망은 아주 밝은 편입니다.

김용걸 전무교통계획부

설계 업무의 수행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습니다. 필리핀정부의 사업 내용 변경으로 4차례에 걸친 설계변경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설계변경 승인 대기기간이 장기화되었습니다.과업의 연속성이 결여되었고, 외주업체 관리 등 업무 진행에 걸림돌이 되는 요인들이 발생하였습니다.이 때문에 함께 일한 동료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럼에도 회사의 많은 관심과 지원 덕분에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도움 주신 많은 분들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
/%ec%84%b8%eb%b6%80-brt/feed/ 0
오산역 환승센터 /%ec%98%a4%ec%82%b0%ec%97%ad-%ed%99%98%ec%8a%b9%ec%84%bc%ed%84%b0/?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25ec%2598%25a4%25ec%2582%25b0%25ec%2597%25ad-%25ed%2599%2598%25ec%258a%25b9%25ec%2584%25bc%25ed%2584%25b0 /%ec%98%a4%ec%82%b0%ec%97%ad-%ed%99%98%ec%8a%b9%ec%84%bc%ed%84%b0/#respond Wed, 29 Oct 2014 08:57:45 +0000 http://kunhwa2020.cafe24.com/?p=2015

대한민국/오산시

2013년 04월 ~ 2014년 10월

21,800㎡

복합환승센터

실시설계

오산시

철길 위에 만들어진 환승센터

오산 교통난의 해결사

오산역과 터미널이 혼재되어 있는 오산시 오산동 일대는 열악한 교통 환경으로 혼잡도가 높아 지역민들의 이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오산역 환승센터 건설은 그 어느 것보다 시급한 현안 사업이었다.
2017년 우리나라 최초의 ‘철길 위에 설치된 환승센터’라는 특성을 지닌 경부선 오산역 환승센터가 문을 열었다. 오산역, 택시정류장 및 환승 주차장을 활용하여 철도노선과 버스 등 교통수단의 연계운영에 필요한 환승센터를 건설함으로써 역세권 개발, 대중교통활성화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오산역 환승센터는 철도와 전철, 시외버스, 노선버스, 택시 승용차 등 분산되어 있던 교통수단을 전면적인 환승시설의 재배치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환승체계로 구축하는 사업이었다.

설계부터 감리까지 완벽하게

오산역 환승센터의 주요 시설로서 1층에는 자가용 승차장 8면, 택시 승강장 21면, 시내버스 승강장 2면을 갖추고 있다. 2층에는 광역버스 승강장 3면, 시외버스 승강장 6면, 전철 환승게이트, 통합대합실을 갖추는 등 한 곳에서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One-Point 시스템으로 구축되었다.
오산 시민의 숙원사업인 오산역 환승센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에 건화는 설계 및 감리 과업을 수행하였다. 환승센터는 철로 위에 기둥을 세워 총 6개의 교량(총연장 476m)을 건설한 후 철로 상부에 이층 구조로 건립되었다. 건화는 2012년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을 시작으로 2013년에 기본 및 실시설계를 수행했고, 이후 감리까지 맡았던 프로젝트다.  건화의 설계 기술과 더불어 고난도 공사의 감리 능력까지 선보일 수 있는 중요한 과업이었다. 특히 교통계획부, 구조부, 감리CM본부 임직원들이 환상적인콜라보 정신을 발휘한 현장이기도 했다.

프로젝트 이야기

정병훈 부장교통계획부

사실 예전에는 철도 선로 사이에 철도시설 외 타목적 시설물을 단 한 개라도 설치하려면 안전을 위한 여유 공간확보 등 선결해야 할 난제가 많아 논의 대상이 되지 못했습니다. 더욱이 오산역 환승센터의 경우 경부선 선로 사이에 40개가 넘는 교각을 설치해야 했기에 당연히 불가능한 공사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던 공사였습니다. 또한 경부선 열차가 안 다니는 새벽에만 시공을 진행해서 제약이 많고 힘들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
/%ec%98%a4%ec%82%b0%ec%97%ad-%ed%99%98%ec%8a%b9%ec%84%bc%ed%84%b0/feed/ 0